top of page
제사의 의미

​제사의 의미

제사는 돌아가신 조상을 추모하고 그 근본에 보답하고자 하는 공경의 의식입니다.
그래서 돌아가신 조상이 계신 듯이 정성을 다하여, 조상으로부터 복을 받고 후손에게 효성과 공경의 마음을 가르치는 것입니다.
제사의 종류와 의미
조선시대에 제사의 규범서가 된 『 주자가례(朱子家禮) 』에는 사시제(四時祭)·초조제(初祖祭)·선조제(先祖祭)·녜제(禰祭)·기일제(忌日祭)·묘제(墓祭) 여섯 가지 제사가 있습니다. 
 
봄·여름·가을·겨울에 한 차례씩 4대친(고조·증조·조·고)을 모시는 사시제는 사계절이라는 자연의 운행을, 동지에 시조를 모시는 선조제는 동지가 양(陽)의 시작임을, 입춘에 시조 이하 고조 이상의 조상을 모시는 선조제는 생물이 시작하는 봄을, 중추에 어버이를 모시는 녜제는 사물이 익는 가을을 상징하여 지내는 것입니다.
반면에 기일제는 조상이 돌아가신 날에 그의 죽음을 평생 기억하며 추모하는 의례입니다.
묘제는 시간보다는 무덤이라는 공간적 관념이 강하기는 하지만, 3월과 10월에 지내는 묘제도 이날 초목이 처음 자라고 처음 죽는 날에 당하여 추모의 정이 생겨났기 때문에 지내는 것입니다.
 
제사의 변천
고려 말 성리학의 수용과 더불어 중국의 『소학』과 『주자가례』가 사대부의 실천 규범으로 인식되면서 우리나라에 유교식 제사가 점차 보급되었습니다.
『주자가례』를 수용하기는 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예부터 기제와 묘제를 중시하여 『국조오례의』와 『상례비요』 등에서는 크게 사시제, 기제, 묘제만을 주요 제사로 규정하였습니다.
이들 예서에서 가장 크게 여긴 제사는 정침(청사)에서 지내는 사시제였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묘소를 중시하여 사당에서보다는 설·한식·단오·추석 등 사명일(四名日)에 묘소에서 제사를 지내왔습니다.
 
사당에서의 사시제와 사명일의 묘제가 절기상으로 겹치거나, 묘제 관행이 성행함에 따라 사시제는 점차 축소되었습니다.
이에 사당에서는 4대 조상을 중심으로 기제와 명절 차례를, 묘소에서는 3월 또는 10월에 지내는 묘제(세일사)와 사명일에 지내는 절사를 지내게 되었습니다.

오늘날에는 『가정의례준칙』에 따라 기제는 2대에 한하여 지내고, 차례는 설과 추석에, 묘제는 한식·추석·중구 또는 적당한 날을 잡아 행례하게 하였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우리 제사 관행으로 4대친에 대한 기제와 아울러 설과 추석(또는 중구) 등의 차례와 성묘가 중요한 제사로 인식되었으며, 시제는 한식 또는 10월에 5대 이상 조상의 묘소에 묘제를 지내는 것으로 인식되어 있습니다.
 
봉사대수
처음 유교식 제례가 수용되었을 때 신분별로 봉사대수도 한정되어 있었습니다.
조선시대 『경국대전』 예전에, 문무관 6품 이상은 3대 봉사, 7품 이하는 2대 봉사, 일반서인은 부모만 제사지내도록 정하였는데 이렇게 봉사대수가 법제적으로 신분 차등이 있었지만, 『주자가례』를 실천하는 사림을 중심으로 점차 4대 봉사를 행례하면서 관행적으로 신분의 구별 없이 4대 봉사를 하게 되었습니다.

기제사는 4대에 한정되어 지내게 되어 있지만, 국가에 공훈이 있거나 학식이 뛰어난 학자는 사당에서 영원토록 제사를 받들도록 하였습니다.
사당에서 영원토록 옮겨지지 않은 신위이라 하여 불천위(不遷位), 불천지위(不遷之位), 부조위라 하며, 이를 모시고 있는 사당을 부조묘라 합니다.
일제강점기에 들어와 『가정의례준칙』이 제정되어 기제는 불천위를 제외하고, 조·고 2대에 한하여 봉사하도록 하였으나, 전통적인 관행으로 아직까지 4대 봉사를 하고 있습니다.
제사 장소
조상의 신주를 모시고 있는 장소를 사당(祠堂) 또는 가묘(家廟)라고 합니다. 사당에서는 매월 초하루 및 보름, 명절 등에 차례를 지내며, 매일 아침 찾아뵙거나, 집안에 큰일이 있을 때 고하기도 합니다.
사시제와 기제에는 사당에서 신주를 정침(청사)으로 모시어 제사를 지냅니다.
묘제는 묘소에서 지내나 비가 오거나 할 때는 재실(齋室) 또는 재사(齋舍)에서 지방으로 망제(望祭)를 지내기도 합니다.
 
제사 대상
제사 대상은 원래 신주(神主)이나, 신주가 없을 때에는 지방(紙榜), 영정(影幀), 사진으로 대신하기도 합니다.
기제의 정의 및 방법

기제의 정의 및 방법

기일제사의 약칭으로 기일, 즉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 번씩 지내는 제사를 말합니다.

기제를 지내는 대상은 고조까지이며 기일은 피눈물을 머금을 만큼 슬퍼 다른 일에 미칠 수가 없는 날이기 때문에 평상시와 달리 술을 마시지 않으며, 고기를 먹지 않고 그리고 음악을 듣지 않으며, 검은 두건에 흰옷, 흰 띠를 두르고 저녁에는 사랑에서 잠을 잡니다.

제사 시간

고인이 돌아가신 날 자정부터 준비하여 새벽 1시 이후나, 해 뜨기 이전에 지냅니다.

예서(禮書)에는 다만 너무 빨리 해도 안 되고 너무 늦어도 안 된다고 하였는데, 보통 여름철에는 오전 4시경, 겨울철에는 닭이 울 때 지내고 오늘날에는 돌아가신 날 자정 이후에 많이 지내기도 하지만, 핵가족화와 직장 출근, 교통의 편리를 고려하여 후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돌아가신 날 저녁에 지내기도 합니다.

 

제사 장소

안채나 사랑채의 대청에서 지냅니다.

단설과 합설

『주자가례』와 『사례편람』 등에는 그날 돌아가신 조상의 신주만 모시는 단설(單設)로 되어 있으나, 인정상 한 분만 모시기가 미안하다 하여 한 상에 두 분을 모두 모시는 합설(合設)을 하거나 각 상을 차려 모시는 각설(各設)을 하기도 합니다.

 

기제

절차조선시대에 『주자가례』의 제사 내용을 수용하여 사대부의 실천윤리로 실천하면서 각 지방 또는 문중에 따라 행례 방식이 다른 가가례를 형성하게 되었습니다.

그것은 『주자가례』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설명이 없고, 또 『주자가례』의 제사 방식이 중국의 생활방식을 담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에 맞게 해석하거나, 집안의 사정에 따라 조금씩 변용하여 제사를 지냈기 때문입니다.

 

『사례편람』의 기제 절차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하루 전날 재계(齋戒)하고 제청에 신위를 마련한다.

  • 다만 고위(考位) 한 신위만 마련합니다.

  • 정침(또는 청사)에 앙장(仰帳)과 병풍을 치고 자리를 깔되 정침에 문이 없으면 발이나 병풍 혹은 휘장을 마련합니다.

  • 영월 신씨가에서는 제사를 지내기 전에 묘소를 찾아가 묘소를 살펴보는 봉심(奉審)을 합니다. 이것은 내일이 기일이기에 제사를 모신다는 것을 알리고, 또한 묘소가 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입니다.

2. 진설

  • 다음 날 새벽 아침에 나물과 과일, 술 등 음식을 먼저 차립니다.

3. 출주

  1. 날이 밝으면 신주를 받들어 모시기 위해 주인 이하가 사당에 간다. 주인이 동쪽 계단으로 올라가 향을 피우고 출주고사(出主告辭)를 고한 이후에 감실의 고위(考位) 신주를 신주독에 받들어 정침으로 모십니다.

  2. 주인은 신주독을 열어 신주를 교위 위에 놓고 신주갑[韜]을 벗기고 비위는 주부가 받듭니다.


출주고사

  • 오늘 OOO의 제삿날에 감히 신주를 정침으로 모셔 공경히 추모하는 뜻을 펴고자 합니다.

4. 참신

  • 주인 이하가 조상을 맞이하는 의미로 참신 재배를 한다. 지방으로 신위를 모실 경우에는 강신을 먼저 한 이후에 참신을 합니다.

5. 강신

  • 분향(안동 퇴계 종택)

  1. 주인이 올라가 하늘에서 혼(魂 ; 陽氣)을 모시기 위해 향을 사릅니다. (『상례비요』에서는 분향하고서 재배)

  2. 이어 땅에서 백(魄, 陰氣)을 모시기 위해 술을 따라 모사기에 붓습니다.

  3. 주인은 하늘과 땅에서 혼백이 모두 오셨기 때문에 강신 재배를 합니다.

6. 진찬

  • 주인과 주부가 생선과 고기, 떡과 국수, 국과 밥 등 더운 음식을 올립니다.

7. 초헌

  • 초헌 뇌주(논산 사계 종택)

  1. 주인이 첫 번째 잔을 올립니다.

  2. 주인이 술을 따라 올린 이후에 집사자가 술을 내려주면 주인은 신을 위해 술을 모사기에 세 번 조금씩 붓습니다.

  3. 안주의 의미로 적(소고기)을 올립니다. (『상례비요』에서는 이때 밥 뚜껑을 연다)

  4. 축관이 축판을 들고 주인의 왼쪽에 나아가 축문을 읽습니다.

  5. 독축이 끝나면 주인이 초헌 재배를 합니다.

  6. 집사자가 다른 그릇에 술과 적을 물리고 잔은 먼저 자리에 놓습니다.

  7. 이날은 기일이기 때문에 주인은 곡하며 슬픔을 다하기도 합니다.

8. 아헌

  1. 주부가 두 번째 잔을 올립니다.

  2. 주부가 없을 때에는 동생이 아헌을 합니다.

  3. 주부가 술을 따라 올린 이후에 집사자가 술을 내려주면 주부는 신을 위해 술을 모사기에 세 번 조금씩 붓습니다.

  4. 안주의 의미로 적(닭고기 또는 숭어)을 올립니다.

  5. 주부는 아헌 사배를 합니다.

  6. 집사자가 다른 그릇에 술과 적을 물리고 잔은 먼저 자리에 놓습니다.

9. 종헌

  • 종헌 진적 - 닭고기적(논산 사계 종택)

  1. 형제 중의 맏이나 장남, 친척 중의 연장자가 세 번째 잔을 올립니다.

  2. 종헌관이 술을 따라 올린 이후에 집사자가 술을 내려주면 종헌관은 신을 위해 술을 모사기에 세 번 조금씩 붓습니다.

  3. 안주의 의미로 적(숭어 또는 닭고기)을 올립니다.

  4. 종헌관은 종헌 재배를 합니다.

10. 유식

  • 삽시 정저(청주 우암 종택)

  1. 주인이 식사를 권유하는 의미로서 잔에 술을 더 채우는 첨작을 하고, 주부는 밥에 숟가락을 꽂되 자루가 서쪽으로 가게 합니다.

  2. 그리고 젓가락은 시접 위에 가지런히 놓되, 머리를 서쪽으로 가게 합니다. 

  3. 주인은 재배를 하고, 주부는 사배를 합니다.

 

11. 합문

  • 합문(안동 학봉 종택)

  1. 식사를 하시도록 축관이 문을 닫고 나가되 문이 없을 경우에는 병풍으로 제사상을 가리고 참사자 전원이 한참 동안 엎드리는 것으로 합문을 대신하기도 합니다.

  2. 엄숙하게 식사하시는 동안 기다리는데, 한 끼에 아홉 번 밥을 뜨는 시간이라고 합니다.

12. 계문

  • 진다(청주 우암 종택)

  1. 축관이 세 번 헛기침을 하여 식사가 끝났음을 알리고 문을 엽니다.

  2. 식사 후에 숭늉을 드시는 것처럼, 주인과 주부는 국을 물리고 차(또는 물)를 받들어 올리거나 물에 밥을 세 번 떠서 풀고 그 안에 숟가락을 놓는데 이를 '진다' 또는 '헌다'라 합니다.

  3. 이때에도 숭늉 드시는 것을 기다리는 것처럼 서서 조금 기다리는 국궁(鞠躬)을 합니다.

  4. 국궁 후에 식사가 모두 끝난 것으로 여겨 집사자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먼저 시접에 내려놓고 밥 뚜껑을 닫습니다.

13. 사신

  • 사신 재배(논산 사계 종택)

  1. 제사가 끝났기 때문에 조상이 떠나시는 것처럼 주인 이하 모두 사신 재배를 합니다.

  2. 이어 축문을 불사르는데, 이를 ‘분축(焚祝)’이라 합니다.

14. 납주

  1. 주인이 신주를 신주독에 받들어 사당에 다시 모십니다.

  2. 지방으로 제사를 모시면 깨끗한 곳에서 불태워 묻습니다.

 

15. 철찬

  1. 제사상의 음식을 모두 치웁니다.

  2. 기제에는 사시제와 달리 음복이 없었으나, 오늘날에는 제사를 마친 후에 제사음식으로 음복을 하며, 이날에 성묘를 하고 곡을 하기도 합니다.

묘제의 정의 및 방법

묘제의 정의 및 방법

조상의 묘소에 가서 지내는 제사로, 묘사(墓祀), 묘전제사(墓前祭祀)라고 합니다.

5대 이상의 조상에 대해서는 일년에 한 번 묘제를 지낸다고 하여 세일제(歲一祭), 세일사(歲一祀)라 하며, 4대친은 설, 한식, 단오, 추석 등 명절에 묘제를 지낸다고 하여 절사(節祀)라고 구분하기도 합니다.

오늘날에는 관행적으로 묘제를 시제(時祭), 시사(時祀), 시향(時享)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5대 이상의 조상을 모시는 묘제를 가리키며, 4대친에 대한 묘제를 사산제(私山祭)라고 구분합니다.

제일

『주자가례』에는 3월 상순에 날짜를 정하여 묘제를 지낸다고 되어 있으나, 중국의 송대 유학자들이 한식과 10월 초하루에도 지낸다고 하여 묘제는 대체로 3월 및 한식, 10월 1일에 많이 지냅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옛날부터 묘제를 중시하여 고려 때부터 속절(俗節)에 묘제를 지내왔고, 조선시대에도 이를 이어 설·한식·단오·추석 등 명절에도 묘제를 지내왔습니다.

묘제 대상

『주자가례』의 묘제 대상은 원래 4대친이나, 5대 이상의 조상도 1년에 한 번 묘소에서 제사를 지낸다고 하였습니다.

이에 지역에 따라서는 10월에 시조로부터 부모 묘까지 차례로 묘제를 지내기도 하고, 5대 이상의 조상 묘제는 세일사로서 3월이나 10월에, 4대친의 묘제는 절사로서 설, 한식, 단오, 추석 등에 묘제를 지내기도 합니다.

이에 불천위의 경우 사당에 모신 것으로 여겨, 세일사 대신에 차례와 절사를 지내기도 하며 10월 묘제에 5대 이상의 조상과 함께 모시기도 합니다.

묘제와 절사

『동국세시기』에 보면 도시 풍속에 산소에 올라가 제사 지내는 것을 절사라 하는데, 설날·한식·단오·추석 등 사명일에 행한다고 하였습니다.

이날 술·과일·포·식해·떡·국수·탕·적의 음식으로 제사 지내며, 집안에 따라 약간 다르지만 한식과 추석에 가장 성하다고 합니다.

 

명절에 산소에 올라가 제사를 지내는 것은 우리나라의 풍속으로, 조정에서는 여기에 동지를 더하여 다섯 절사가 되었다고 합니다.

묘제와 시제

원래 시제는 2월 · 5월 · 8월 · 10월 중에 사당에 모신 4대친의 신주를 안채나 사랑채의 대청에 함께 모시고 지내는 제사로 『주자가례』에서 가장 중요시한 제사였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예부터 설 · 한식 · 단오 · 추석 등의 명절에 묘제를 지내왔기 때문에, 사당에서보다는 묘소에서 제사를 많이 지냈습니다.

이에 시제와 묘제를 절충하는 선에서 설 · 단오 · 추석 · 동지에는 사당에서 4대친에 대한 차례를, 한식과 10월경에는 5대 이상의 조상에 대한 묘제를 지내면서, 시제는 5대 이상의 조상을 모시는 묘제로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장소

묘제는 원칙적으로 묘소에서 지내나, 비가 올때에는 재실에서 지방으로 합동으로 망제(望祭)를 모시기도 합니다.

묘제 절차

『사례편람(四禮便覽)』 묘제 절차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하루 전날에 재계를 하고, 주인이 여러 집사자를 거느리고 묘소로 나아간다.

  • 묘소마다 제물을 준비하며, 토지신에게도 지낼 제물도 준비합니다.

  • 주인은 심의를 입고 집사자를 데리고 묘소에 가서 재배하고 묘소 안팎을 돌며 슬프게 살피기를 세 번 합니다.

  • 묘소와 주변을 청소합니다.

​​

2. 진찬

  • 깨끗한 자리를 묘소 앞에 깔고 제물을 차려놓습니다.

  • 석상이 있을 경우에는 그 위에 제물을 차립니다.

​​​

3. 참신

  • 주인 이하 모두 재배를 합니다.

4. 강신

  • 주인이 분향하고 강신잔에 술을 따라 모사기에 붓거나 석상 아래 땅에 붓고서 강신 재배를 합니다.

  • 『주자가례』에는 참신을 먼저 하고 강신을 나중에 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격몽요결』 묘제에는 강신을 먼저 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5. 초헌

  1. 주인이 첫 번째 잔을 올립니다.

  2. 이때 밥 뚜껑을 엽니다.

  3. 대축이 주인의 왼쪽에서 축문을 읽습니다.

  4. 독축이 끝나면 주인이 초헌 재배를 합니다.

​​

​초헌축문

유세차 간지 모월 간지삭 모일 간지에 효자(※ 조일 때에는 ‘효손’, 증조일 때에는 ‘효증손’, 고조일 때에는 ‘효현손’) 모는 감히 현고학생부군과 현비유인모씨 묘소에 고합니다. 계절이 바뀌어 비와 이슬이 이미 젖었음에(※ 한식일 때, 설일 때에는 ‘세율기경(歲律旣更)’, 단오일 때에는 ‘시물창무(時物暢茂)’, 추석일 때에는 ‘백로기강(白露旣降)’) 봉분을 바라보니 하늘처럼 그지없어(※ 조 이상일 때에는 ‘길이 사모함을 견디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으로 경건히 제사를 올리옵니다. 상향

6. 아헌

  • 독축(안동 전주 류씨)

  • 두 번째 잔을 올리고 아헌 재배를 합니다.

7. 종헌

  • 세 번째 잔을 올리고 종헌 재배를 합니다.

  • 아헌과 종헌은 모두 아들 또는 동생이나 친한 벗이 합니다

8. 합문

  • 합문(안동 풍산 류씨)

  • 집사자가 밥에 숟가락을 꽂고 숟가락을 접시 위에 가지런히 놓는 삽시정저(揷匙正箸)를 하고 엄숙하게 참사자 모두 엎드리고 한 번 식사할 만한 시간을 기다립니다.

9. 진다

  • 진다(안동 풍산 류씨)

  1. 대축이 헛기침을 세 번 하면 집사자가 국을 물리고 숭늉을 올립니다.

  2. 묘제에 참여한 후손은 모두 국궁을 합니다.

  • 묘제에 밥과 국을 올리지 않은 때에는 합문 및 진다가 생략되고 바로 사신 재배를 합니다.

10. 사신

  • 주인 이하 모두 재배를 합니다.

  • 국궁(안동 풍산 류씨)

  • 합동 묘제(남양주 청풍 김씨)

  • 제실 묘제(연천 청풍 김씨)

11. 분축

  • 대축이 축문을 불사릅니다.

12. 산신제

  • 이어 토지신에 대한 제사를 지냅니다.

  • 묘소와 산을 지키는 토지신에게 예를 다하는 것인데 만약 같은 산 안이면 여러 묘위에 제사를 마치고 가장 높은 묘위의 묘소 왼쪽에서 지냅니다.

① 진찬

  • 깨끗한 자리를 펴고 제물을 진설합니다.

② 강신

  • 분향을 하지 않고 술을 땅에 부어 강신하는데 강신 재배는 하지 않습니다.

③ 참신

  • 산신제에 참여한 사람은 모두 참신 재배를 합니다.

④ 초헌

  • 초헌관이 첫 번째 잔을 올립니다.

  • 집사자가 젓가락을 접시 위에 바로 놓고 물러나면 축관이 초헌관의 왼쪽에서 축문을 읽습니다.

  • 독축이 끝나면 초헌관은 초헌 재배를 합니다.

  • 산신제 초헌 재배(안동 풍산 류씨)

 

토지신축문

유세차 간지 모월 간지삭 모일 간지에 모관 000은 감히 토지의 신에게 아뢰옵니다. 모가 공손히 올해 제사를 모친 모관 부군의 묘소에서 지내옵니다. 이에 보호됨은 실로 신의 아름다움에 의뢰한 것이오니, 감히 술과 음식으로 경건히 올립니다. 두루 받아주소서.

  • 산신제 독축(대전 안동 권씨)

00년 0월 00일 000는 토지신에게 아뢰옵니다. 5대조 할아버님 00공과 그 후손의 묘소에 삼가 묘제를 받드오니 때로 도우시어 신의 보우에 힘입고자 여기 술과 음식으로 경건히 잔을 바치오니 두루 받아주소서

⑤ 아헌

  • 아헌관이 두 번째 잔을 올리고 아헌 재배를 합니다.

⑥ 종헌

  • 종헌관이 세 번째 잔을 올리고 종헌 재배를 합니다.

⑦ 사신

  • 조금 뒤에 집사자가 젓가락을 접시 안에 내리면 산신제에 참여한 사람은 모두 사신 재배를 합니다.

⑧ 분축

  • 축문을 불살라 예를 마칩니다.

⑨ 철상

  • (음복) 제물을 모두 거두어 음복을 합니다.

차례의 정의 및 방법

차례의 정의 및 방법

 
차례란?
차례는 설이나 추석 같은 명절에 조상에게 올리는 제례를 말합니다.
여기에는 조상을 숭배하고 그 은혜에 보답하려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차례를 지내는 시기
예전에는 매달 초하루와 보름, 그리고 명절에 지냈는데 지금은 대개 설, 추석 등의 명절날에만 지냅니다.
예전에는 새벽이나 아침 일찍 지냈는데, 지금은 먼 곳에서 모여야 하므로 늦게 지내는 편입니다.
차례의 대상
돌아가신 조상 가운데 자신으로부터 4대(고조)까지 해당되며, 5대 이상은 시제의 대상입니다.
 
차례의 주체
종법의 원리에 따라 장자와 장손이 제주가 됩니다.
그러나 차차, 차손일 경우 그 집안의 가장이 제주가 됩니다.
차례장소
조상의 신주를 모시는 사당이 있을 때는 사당에서 지내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대개 대청이나 큰방에서 지냅니다.
그러나 가옥의 구조나 지방 그리고 가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차례 준비물
고조까지 4대 봉사를 할 경우 신위를 모시는 교의, 제상, 제기 등은 4벌을 준비해야 하고 병풍, 향안, 향로, 향합, 소탁, 자리 등은 한 벌만 있어도 됩니다.
원칙은 4대를 동시에 지낼 경우 교의와 제상 4벌이 필요한데 준비하기 어려우면 윗대 조상부터 차례로 여러 번 지내거나 큰상 하나에 구분하여 차리면 됩니다.
차례 음식의 종류
차례 음식은 계절의 특식을 조상에게 올리는 제사이므로, 설에는 떡국, 추석에는 송편을 올립니다.
나머지는 기제사 음식과 유사합니다.
차례상 차리기
상차림의 기본은 기제와 같으나 몇 가지 다른 점만을 적으면 다음과 같습니다.
적(炙)은 고기와 생선 및 닭을 따로 담지 않고 한 접시에 담아 미리 올립니다
밥과 국의 위치에 설에는 떡국을 놓으며 추석에는 송편을 놓거나 떡의 위치에 송편을 올리기도 합니다.
차례 절차
차례를 지내려면 3일 전부터 목욕재계하여 심신을 청결히 하여야 하고 차례 당일 아침에는 사당과 제청을 깨끗이 청소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집안의 안주인을 중심으로 탕, 떡, 부침 등의 차례 음식을 준비하고 남자들은 축문, 지방, 꼬치, 제기 등 차례에 필요한 기구들을 준비하는가 하면 고기, 과일 등 차례 음식을 장만합니다.
차례를 지내는 시간이 되면 제상과 병풍 등 집기를 준비합니다.
차례는 기제사와 달리 축문을 읽지 않고 잔을 한 번만 올립니다.
이에 반해 기제사는 술을 세 번 올리고 축을 읽는 것이 크게 다릅니다.
축문과 지방, 제사시간

축문과 지방, 제사시간

 

제사 축문(한글)

​때는 바야흐로 00년 00월 00일 효자 00는 감히 돌아가신 어머님(아버님)에게 밝게 사룁이다.

세월이 흘러 돌아가신 00님의 제삿날이 돌아왔습니다.

지난날의 추억이 오늘 더욱 절실하와 저 하늘도 다함이 없습니다.(부모님)

아픈가슴 이길 수 없어 저하늘도 다함이 없습니다.(백숙부모님)

쌓인 정에 슬픔과 고통을 이길 수 없어 저 하늘도 다함이 없습니다.(배우자)

마음이 무너지도록 슬픔에 저 하늘도 다함이 없습니다.(형제자매)

삼가(그리움에) 맑은 술과 갖은 음식으로 정성을 드리오니 두루 받아주소서.

선조 제사 축문(한글)

때는 바야흐로 00년 00월 00일 효자(효손) 00는 감히 (0대조)할아버님, 할머님에게 밝게 사뢰나이다.

이제 새봄으로써 만물이 소생하기 시작함에(봄)

이제 만물이 번창하고 우거진 계절이 시작됨에(초여름)

이제 풀과 나무가 크게 자라오르는 계절에(늦여름)

이제 계절이 바뀌어 흰이슬에 젖었음에(초가을)

이제 이슬과 서리가 이미 내렸음에(초겨울)

조상을 추모하고 은덕을 갚을 길을 생각하오니 예절을 감히 잊지 못하와 삼가 맑은 술과 갖은 음식으로 경건히 올리나이다.

​해마다 거행하는 행사이온바 두루 받아주소서.

​제사 시간

국립문화재연구소가 발간한 ‘알기 쉬운 명절차례와 제사’에 보면 우리나라는 고래로 설∙한식∙단오∙추석 등을 4대 명절로 꼽았고 그 외에 중구(9월9일)∙동지 등의 명절에도 차례를 올렸지만, 오늘날은 설과 추석이 대표적인 명절로 정착됐습니다.

 

차례는 조상에게 달과 계절, 해가 바뀌고 찾아옴을 알리고, 새로 나는 음식을 먼저 올리는 의례로서 차(茶)를 올리면서 드리는 예(禮)라는 뜻으로 차례(茶禮)라고 합니다. 우리 조상들은 제수(祭需) 중에서 차를 가장 중요하게 여겼으나 점차 차 대신 술과 숭늉을 쓰는 풍속으로 바뀌었다고 전합니다.

 

설 차례는 해가 바뀌는 새해에 처음으로 음식을 올리는 의례이고, 추석차례는 농사를 지어 새로이 나는 음식을 올리면서 조상의 음덕을 기리는 의례이다. 그래서 첫 아침에 지냅니다.

 

제삿날은 흔히 돌아가신 전 날 저녁이라고 하지만 사실은 돌아가신 날 첫 새벽입니다.

예부터 영(靈)의 시간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돌아가신 날의 새벽 0시부터 밤12시가 되기 전까지의 24시간을 말하는 것인데 그 중에서도 0시부터 5시 사이가 ‘영’이 가장 활발하게 움직이는 시간이라고 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 시간대에 제사를 지내는 것이 가장 좋고, 아니면 같은 날 다른 영의 시간대에 지내야 조상이 와서 그나마 밥 한 숫갈이라도 들고 가시게 된다고 믿었던 것입니다.

 

궐명제(厥明祭)니 질명제(質明祭)니 하는 말이 있는데 궐명은 미명(未明)을 가리키고 질명은 먼동이 틀 무렵을 말합니다. 따라서 자정(子正, 밤 12시)부터 인시(寅時, 5시)까지 날이 새기 전 새벽에 기제(忌祭)를 올리는 것입니다. 즉, 전날 저녁에 한데 모여 음식준비를 갖추었다가 밤12시가 되면 올리는 것입니다. 이치적으로 따지자면 그렇다는 것이죠.

 

그러나 오늘날과 같은 핵가족 사회구조와 생활여건에서 볼 때 한밤중 제사는 가족들의 참석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음 날 출근과 사회활동에도 지장이 많아집니다.

그래서 가정의례준칙에 관한 법률에 "기제사는 별세한 날 일몰 후 적당한 시간에 지낸다." 라고 적어놓고 있습니다. 여기서 저녁 때라면 직장이나 일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집에 돌아오는 시간으로 도시에서는 대략 저녁 8~9시 사이를 가리킵니다.

 

또 “추석차례는 직계조상을 모으고 설차례는 부모·조상 2대를 모아서 각각 추석과 1월1일 아침에 지낸다.“ 라고 명기해 놓고 있습니다.

 

이들을 모두 정리해보면 “기제는 조상이 돌아가신 날 저녁에 지내고 차례는 명절 아침이나 낮에 지낸다.”는 것이 됩니다.

 

예의범절의 총본산이라 할 수 있는 ‘성균관’에서도 기제사의 시간에 대해 “돌아가신 날의 자시(子時)에서 인시(寅時)까지 새벽에 제사를 지내는 것이 원칙이다. 만약 음력으로 8월16일 돌아가셨다면, 그 전날인 8월15일에 제사준비를 하였다가 8월16일이 시작되는 자시에서 인시 사이(밤11시~새벽5시)가 된다.”라고 알리고 있습니다.

 

성균관에서는 “그러나 시대가 바뀜에 따라 늦은 저녁 또는 새벽에 제사를 지내기가 점점 어려워지는 세태를 반영하여 가정의례준칙에서 돌아가신 날(여기서는 8월16일)의 저녁에 해가 지고 난 뒤 제사를 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시간적인 이유로 제사를 일찍 하고자 한다면 8월16일 해가지고 난 후 저녁 8~9시 정도가 적당할 것이다.”라고 알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시대가 변함 요즈음에는 제사의 의미보다 가족간의 회합이 더 의미를 부여하므로 돌아가신 당일 저녁이나, 돌아가신 날이 포함된 주말, 또는 휴일 새벽 등을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입니다.

자시란?

​원래 밤 11시부터 새벽 1시까지가 자시이지만 현재 우리라나는 일본의 동경 표준시(도쿄 표준시)를 따르고 있으므로, 서울 기준으로 23:32~01:31까지가 자시이므로 자정도 00:32분이 자정이 됩니다.(포항, 울산, 부산, 강릉 등 동해안은 00:28분 정도)

제사상 진설

제사상 진설

 

한국의 상장례 문화 중에 가장 민감하고 말이 많은 것이 ​축문과 더불어 제사상 진설의 방법입니다.

홍동백서, 조율이시, 두동미서, 어동육서, 좌포우혜, 생동숙서 등 집집마다 좌우와 동서로 나뉘는 법칙이 워낙 많아서 전문가들도 다 알 수 없는 지경입니다.

그러나 상장례의 기본이랄 수 있는 문헌에서도 홍동백서, 조율이시, 두동미서, 어동육서, 생동숙서, 좌포우혜 등의 말이 전혀 없고, 영남지방의 일부 가문에서 전승되어 내려오던 풍습이 갑오경장 이후 일반에게 공개되면서 근래 언론의 발전과 더불어 점차 살이 붙어서 점점 풍속에 대한 말이 많아지게 되어 현재 여러 가지의 복잡한 법칙이 생겨나게 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고인이 생전에 좋아하던 음식과, 가족 모두가 부담없이 먹을 수 있는 음식을 중심으로 제사상을 진설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각종 고서에 나와있는 제사상의 진설도입니다.

대구광역시 북구 칠곡중앙대로 376-1, 2층

Tel : ​1800-1018, 053-591-1994

​FAX : 070-4325-6328

(주) 도래안

대   표   자 : 강수철

​사업자번호 : 515-81-52426

bottom of page